향토사료집

보은의 역사와 문화를 만나는 곳

보은의 지명

보은의 지명

충청북도의 남부에 위치한 군이다. 관내에 속리산과 법주사, 정이품송과 삼년산성이 있다. 동쪽에는 백두대간에 위치한 속리산의 여러 험준한 봉우리가 솟아 있고 서쪽에는 한남금북정맥의 산지가 뻗어 있다. 속리산은 동류하는 낙동강, 남류하는 금강, 북류하는 남한강의 분수령이 되고 있다. 금강 수계의 보청천은 내북면 하궁리에서 발원하여 보은읍을 지나면서 고승들을 형성하고 남류하여 금강과 합류한다. 보청천의 주요 지류로는 삼가천과 항건천이 있다. 보은읍 · 내북면 · 산외면 · 속리산면 · 장안면 · 마로면 · 탄부면 · 삼승면 · 수한면 · 회인면 · 회남면의 1읍 10면 174개 리를 관할하고 있다.

현재의 보은 지역은 조선 시대 보은현과 회덕현 지역으로 1895년에 실시된 23부제로 보은군과 회인군이 되었다. 『신구대조』에 의하면 1914년 두 지역이 통합되어 보은군이 되었으며 10개 면 178개 리를 관할하였다. 보은은 삼한 시대에 마한에 속했고, 삼국 시대에는 백제와 신라의 국경 지대였다. 삼년산성은 470년(신라 자비왕 13) 신라가 백제를 견제하기 위하여 보은에 성을 축조하였는데 그 축조기간이 3년이 걸렸다 하여 이렇게 불리는 것이며, 오정산에 있다 하여 일명 오정산성(烏頂山城)이라고도 한다. 『삼국사기지리지』(상주)에 "삼년군은 본시 삼년산군(三年山郡)으로서 경덕왕이 개명하였는데 지금은 보령군(保齡郡)이 되었다."라고 하여 관련 기록이 처음 등장한다. 즉 502년(신라 지증왕 3)에 주현제를 실시하면서 삼년산군이라 하였고, 757년(신라 경덕왕 16)에는 중국의 2자식 한자 지명인 삼년군(三年郡)으로 개명하였다. 『고려사지리지』(경상도 상주목 보령군)에 "보령군(保令郡)은 원래 신라의 삼년산군인데 경덕왕이 삼년군으로 고쳤고, 고려 초기에는 보령군(保齡郡)으로 고쳤다."라고 기록되어 940년(고려 태조 23)에 삼산군을 보령군으로 개명한 것으로 보인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태종 6년(1406)에 보령현(保寧縣)과 음이 서로 비슷하다고 하여 지금 이름으로 고치고 현감을 삼았다. 태종 13년(1413)에 경상도에서 본도로 예속되었다."라는 기록이 보이며 이와 유사한 기록이 『세종실록지리지』에도 확인된다. 이를 통해 당시 충청우도의 '보령'과 음이 같아 혼동이 되므로 현재의 명칭인 '보은'으로 개칭한 사실과 1413년에 경상도에서 충청도로 이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과 『여지도서』에는 보은의 일명으로 삼년산[保齡], 삼산[報令], 보령(保令)이 기록되어 있다. 조선 후기 보은현은 8개 면을 관할했다는 내용이 『동국여지지』에 보이며, 『여지도서』와 『호구총수』에는 사각면 · 속리면 · 왕래면 · 탄부면 · 마로면 · 삼승면 · 서니면 · 수한면 · 내북면 · 외북면의 10면 206리를 관할하였다. 조선 시대 회인현은 『삼국사기지리지』(웅주)에 "매곡현(昧谷縣)은 본시 백제의 미곡현(未谷縣)으로 경덕왕이(매곡으로) 개명하였으며, 지금의 회인현이다."라는 관련기록이 처음 등장한다

읍.면의 지명

보은읍

보은읍은 대추, 한우, 사과로 유명한 보은군의 한가운데에 위치한 유일한 읍단위 지역으로, 동쪽에는 신라시대의 사적인 삼년산성이 자리잡고 있고, 한가운데로는 보은대추축제의 주요무대인 동다리와 보은의 새로운 명물인 보은대교가 위치한 보청천이 흐르는 산자수명한 고장입니다.

자세히보기

속리산면

보속리산면은 산자수명한 국립공원 속리산과 2018년 세계문화유산 유네스코에 등재된 법주사를 비롯한 쌍사자석등(국보 제5호), 팔상전(국보 제55호), 석연지 (국보 제64호) 등 귀중한 문화유산의 보고이며, 잘 갖추어져 있는 관광서비스시설과 송이버섯, 대추, 약초 및 산채 등 청정 농·특산물이 생산되는 맑고 깨끗한 아름다운 고장입니다.

자세히보기

장안면

장안면은 청주~상주간 고속도로에서 국내 최고의 명산 속리산 국립공원에 이르는 관문에 위치하고 있고 충북알프스로도 유명한 속리산과 구병산 자락에 속해있으며 암릉으로 이루어진 뛰어난 산세의 풍광과 계곡이 어우러진 누구나 살고 싶은 귀농, 귀촌의 정주1번지 고장 입니다.

자세히보기

마로면

마로면은 조선시대에 역마를 먹이던 곳이라 마로면이라 하였으며, 군의 동남부에 위치해 옥천군과 경북 상주시에 접해 있는 지역입니다. 전형적인 농촌으로 축산업과 과수가 주소득이며, 젖소는 군의 50%, 한우는 22% 등 보은군 축산의 중심에 있는 고장입니다.

자세히보기

탄부면

탄부면은 동으로는 삼가천을 경계로 장안면과 마로면을, 서로는 보청천을 경계로 보은읍과 삼승면을, 남으로는 울미산(451m)을 경계로 마로면과 인접하고 있으며, 중심부에는 국사봉(363m)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보은군의 남부지역에 위치하고 비교적 낮은 산지를 중심으로 평야지대가 발달하여 벼농사와 밭농사가 주를 이루고 있어 주민들의 대부분이 농업과 축산업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자세히보기

삼승면

삼승면은 금적산과 삼승산이 마치 좌청룡 우백호처럼 감싸는 듯 하는 형상이며 넓은 들 한가운데로 보청천과 오덕천이 가로지르며 흐르는 명당의 요소를 다 갖춘 지역으로 보은 상주 간 고속도로의 보은 IC가 관문처럼 바로 인접하여 교통과 접근성이 매우 편리한 고장입니다. 전체 면적의 약 70% 정도가 농경지로 대부분 낮은 구릉지와 넓은 평야로 이루어져있어 많은 일조량으로 과일농업과 벼농사에 최적의 조건이며 그중 특산품인 사과는 전국적으로 유명할 뿐 아니라 대추, 복숭아, 배 등도 지역 내 최고의 품질로 정평이 나있습니다.

자세히보기

수한면

보은군의 남서부에 위치한 수한면은 옥천군과 연접한 지역으로 청주 상주간 고속도로와 국도 37호선이 지나가 있으며, 임야가 전체면적의 70%를 차지하는 중간지역으로 산자수명(山紫水明)한 자연경관을 자랑하는 곳입니다. 쾌적한 자연환경을 바탕으로 과수, 오이, 대추 등 친환경 농산물을 생산하여 농가 소득을 창출하고 있으며, 주민 서로가 서로를 아껴가며 정답게 살아가고 있는 훈훈한 정이 넘치는 살기 좋은 고장입니다.

자세히보기

회남면

회남면은 1980년 대청댐 수몰로 인하여 옥토는 수몰되었지만 산과 물이 어우러진 대청호 상류에 위치한 댐주변 고장으로 맑고 깨끗하여 청정지역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우리고장에서 생산되는 대추, 사과 배 등의 과일은 이러한 맑은 물과 깨끗한 공기를 머금고 자랐기 때문에 그 어느지역의 과일보다 맛과 품질이 우수합니다.

자세히보기

회인면

회인면은 역사와 전통이 살아 숨쉬는 충절의 고장입니다. 특히 맑고 깨끗한 청정지역으로 기후풍토가 과수농업에 적합하여 대추, 곶감, 배 재배 농가가 증가하고 있으며, 예로부터 고추, 마늘, 참깨의 주산지입니다.

자세히보기

내북면

내북면은 속리산에서 발원한 달천과 궁저수지에서 흘러 보은읍 상수원으로 활용하는 보청천이 있으며, 빼어난 자연경관과 맑은 공기, 기름진 땅에서 인삼, 대추, 포도, 배추, 고추등 특용작물을 주로 생산하고 있고, 국가산업단지, 소규모 중소기업과 노인요양병원시설도 있으며 보은군의 관문으로 21개 행정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자세히보기

산외면

산외면은 1913년도에 면소재지를 구티리로 이전하여 24개리동을 관할하고, 동쪽은 경북 상주시와 북쪽은 청주시와 괴산군을 접하고 있으며, 예부터 살기좋고 인심이 넘쳐나는 아름다운 고장입니다. 주산물은 고추와 연초를 재배하고 있고, 최근에는 인삼을 재배하는 농가들이 늘어나면서 농가소득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으며 특산물로는 송이버섯을 비롯 사과, 표고버섯 등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자세히보기